학회지/투고         편집위원회 공지

기업의 상승잠재력(upside potential)이 투자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26

Prospect theory는 낮은 확률에도 불구하고 큰 수익을 얻기 위해 기꺼이 투자를 감행하는 투자자들의 편의(biased)된 성향을 설명하는데, Chou et al.(2009), Zhang(2013), Schneider and Spalt(2016) 등은 오른쪽 꼬리분포를 따르는 복권성향의 기업일수록 기업의 상승잠재력(upside potential)이 더욱 높다고 주장한다본 논문에서는 상승잠재력이 높은 기업일수록 적극적인 투자활동으로 이어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2002-2017년 기간 유가증권시장에 등록된 676개의 기업(9,056개의 관측치)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주가수익률의 왜도로 판단한 상승잠재력이 높은 기업일수록 투자규모를 상승시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세 가지 고정효과를 가감한 본 논문의 baseline model에서 기업의 상승잠재력은 투자의사결정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이와 같은 결과는 특정 산업에 왜도가 편중될 수 있음을 고려해 industry-adjusted한 종속·설명변수를 대용해 분석하더라도 동일한 결과가 보고되었다한편, McLean and Zhao(2014)는 기업투자를 측정하는 지표로 현금흐름표상 투자금액이 아닌 (직전년도 대비한총자산 증가율을 사용하는데이 비율을 종속변수로 한 결과에서도 기업투자-주가왜도의 관계가 재차 증명되었다그리고 이와 같은 인과관계가 단순히 일시적인 현상인지 검증하기 위해 왜도의 3-5년 치 평균값을 주요 설명변수로 한 분석에서도 통계적 유의성은 여전히 지지되는데따라서 본 논문의 주요 쟁점이 단기적인 효과가 아닌 장기적인 특성(long-term property)으로 추론할 수 있었다

 첨부파일
투고_신청서_및_연구윤리서약서_박진.hwp
SKEWNESS_Submission_20201217.hwp
SKEWNESS_Submission_20201217.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