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13년-2023년 코스피 상장기업 중 12월 결산인 비금융업 회사를 대상으로 산업을 고객 유형에 따라 기업 고객(B2B), 개인 고객(B2C)으로 구분하여 ESG 성과가 기업가치 및 단기실적에 미치는 영향을 Fama-Macbeth 방식으로 분석해 다음을 보였다. 첫째, 산업구분과 무관하게 ESG 성과는 기업가치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ESG 성과의 단기실적 증가 효과는 B2B 산업에서 매우 유의하나 B2C 산업에서는 10% 수준에 불과하였다. 둘째, B2B 산업은 E, S, G 모두 단기실적을 증가시키는 경로인 반면 B2C 산업은 단지 S만 10% 수준에서 유의한 경로였다. 셋째, B2B 산업에서 광고비 비율이 높을수록 ESG 성과의 기업가치 증가 효과의 유의성이 감소했으나 B2C 산업은 광고비 비율이 높은 경우에만 기업가치 증가 효과가 유의했다. B2B 산업은 광고비 비율과 무관하게 ESG 성과가 단기실적을 유의하게 증가시킨 반면, B2C 산업에서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이는 ESG 성과는 조건에 따라 방향이나 유의성이 변하는 광고와 달리 안정적으로 기업가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수단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주제어:ESG 성과, 기업가치, 단기실적, B2B, B2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