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의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 데이터와 한국ESG기준원의 ESG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업의 ESG 경영 도입 시점과 ESG 등급 변화가 기업의 성과와 시장가치,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변수 간 내생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Arellano-Bond의 동적 GMM(Dynamic GMM), 기업 변수들이 장기간 시차를 두고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패널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Panel Ordinal Logistic Regression), 그리고, ESG 경영과 재무 특성이 상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패널 도구변수 회귀분석(Panel IV Regression)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ESG 경영 도입과 관련하여, 기업의 성과(ROA)와 경쟁력(Market_SH)은 도입 이전 시점에서 유의한 음(-)의 영향을 받았으며, 시장가치(Tobin’s Q)는 일부 연도에 양(+)의 영향을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ESG 평가 점수는 도입 이후 시장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성과와 경쟁력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ESG 도입의 효과는 도입 직전 연도에 긍정적으로 전환되는 경향이 있다. 넷째, Tobin’s Q는 도입 5년 전부터 꾸준히 양(+)의 영향을 받아 도입이 임박할수록 그 효과가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ESG 경영 도입 시 기업이 단기적으로 성과와 경쟁력 측면에서 부담을 겪을 수 있으나, 도입이 본격화되면 시장가치와 성과가 점차 개선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는 ESG 경영 도입의 타이밍과 사전 재무적 준비의 중요성을 보여주며, 기업이 장기적 관점에서 ESG 전략을 설계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ESG 등급 변화에 따른 재무지표의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기업차원의 전략적 ESG 도입 방향 설정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주제어:ESG 경영, 기업성과, 시장가치, 시장경쟁력, 동적 GMM, 패널 IV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