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Hameed and Mian(2015)의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 주식시장에서 산업 내 단기 수익률 반전 전략의 수익성과 유효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기존의 무조건적 단기 수익률 반전 전략과 달리, 본 전략은 동일 산업 내에서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종목을 매수하고, 우수한 성과를 보인 종목을 매도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분석 결과, 산업 내 단기 수익률 반전 전략은 무조건적 단기 수익률 반전 전략보다 더 높은 수익성과 설명력을 가지며, 다양한 강건성 검정을 거친 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성과를 지속적으로 나타낸다. 특히, 소형주 및 비유동성이 높은 자산에서 반전 효과가 더욱 강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유동성 충격에 기반한 가격 왜곡이 산업 내에서 구조적으로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불어, 시장 상황에 따른 분석 결과, 하락장, 금융 스트레스가 높은 시기, 경제심리지수가 낮은 국면에서 반전 전략의 효과가 더욱 강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시장 불확실성과 유동성 제약이 반전 효과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가 주로 선진국 시장에 국한된 점을 확장하여, 한국 주식시장에서도 산업 내 단기 수익률 반전 전략이 유의미하게 작동함을 보여준다. 또한, 산업 분류를 고려한 전략이 다양한 자산 특성에서도 일관된 수익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편적이고 구조적인 투자 전략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며, 실무적 활용 가치 또한 높다.
주제어:단기 수익률 반전, 산업 내 단기 수익률 반전, 산업 간 단기 수익률 반전, 유동성 공급, 시장 상황